미국에 10년넘게 거주하며 남일이라고만 생각했던 보이스 피싱 전화를 며칠 전 받았습니다.

 

평일 오후에 워싱턴 디시 지역번호인 202로 시작하는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왔고,

 

최근에 이직 인터뷰 결과를 기다리고 있던 터라, 혹시 리크루터인가 하는 반가운 마음에

 

잽싸게 전화에  "hello"를 외쳤으나 한국말이 들려오네요.

 

 

 

워싱턴 주재 대사관 직원이라며 내 이름을 대며 본인이 맞냐고, 

 

서울 법원에서 급하게 본인 이름으로 열람해야 할 서류가 왔다고 하네요.

 

(사실 여기서부터 의아했던게 개인 관련 서류일은 보통 대사관이 아닌 영사관에서 하고,
한국 기관에서 나한테 서류를 보낼 일이 있으면 주민등록상 주소인 부모님 댁으로 연락이 갔어야 해서 긴가민가 하는데,

상대편 억양, 목소리, 단어 등등이 120% 공무원스러워 저도 모르게 전화를 끊지 못하고 계속 통화를 하게 됩니다.)

 

(나): 실례지만 전화하신 분은 누구시죠?
(스캐머): 워싱턴 디시 대사관에 근무하는 사무관 (또박또박하게) 박. 우. 진 입니다.

(나): 그래서 제가 어떻게 하면 되죠?

(스캐머): 이게 오늘 중으로 급하게 열람하셔야 해서, 혹시 지금 컴퓨터 사용 가능하신가요?

(나): 잠시만요. 네 지금 가능합니다.

(스캐머):  그러면 주소창에 www지우시고요, 제가 불러주는 주소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 순간 아 이새x 사기꾼이구나 하는 생각이 번쩍 들어 더 이상 집중할 가치가 없다고 결정합니다.

 

(스캐머): 주소는 abc... (정확한 주소는 기억 안남)

(나): 아 그런데 제가 지금 급한 일이 생겨 나중에 전화 드리면 안될까요?

(스캐머): 언제요?
(나): 아마 다음주 쯤?

(스캐머): 제가 조금 이따 전화 드리면 안될까요?
(나): 급한일이 있어 오늘은 힘들것 같네요.

 

그제서야 눈치를 깠는지 알겠다며 의외로 공손히 전화를 끊네요.

 


혹시나 하는 마음에 구글에 검색해 보니, 벌써 이런 사기꾼 전화를 받은 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http://www.koreatimes.com/article/1551019

 

가짜 구속영장 · 웹사이트까지 등장 주미대사관 보이스피싱 갈수록 교묘 - 미주 한국일보

지난 5일 뉴저지에 거주하는 60대 한인 장모씨는 워싱턴DC 주미대사관으로 표시된 전화를 받고 깜짝 놀랐다. 자신을 정모 사무관이라고 소개한 남성이 다짜고짜 “한국 검찰청에 고소된 사건과

www.koreatimes.com

 

 

아마 스캐머가 시키는 대로 순순히 따라했다면, 가짜 법원 웹사이트에 접속시켜 주민등록을 입력하게 한 뒤, 

본인 이름으로 발부된 영장 같은 서류가 나타났을 거고, 그 후에 아마 금품을 요구했을 것 같습니다.

 

 

보통 보이스피싱은 어눌한 조선족 말투의 사기꾼만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생각보다 상당히 설득력 있는 어휘와 억양을 구사해 자칫 피해를 받는 분들이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담으로 보이스 피싱 관련해서 재밌는 기사가 생각나서 아래에 링크합니다.

 

 

1. 보이스 왁싱

한국 스트리머가 라이브 방송 중 500,000 입금 확인하고 약속대로 수염을 밀었는데, 알고보니 입금 금액은 1원이고 입금자명이 "신협 500,000".

 

https://www.fmkorea.com/4405126146

 

보이스왁싱 당한 유튜버

기분상해죄는 아님 ㅋㅋㅋㅋㅋ

www.fmkorea.com

 

 

 

2. 짐바브웨 달러 스캠

외국 스트리머가 라이브 방송중 $100,000 입금된 (미국 달러로 약 1억4천) 것을 보고 삭발을 했으나, 알고보니 미국 달러가 아니라 짐바브웨달러... 100,000 짐바브웨 달러는 미국 달러 약 20달러임 (한국돈으로 약 3만원)

https://www.instagram.com/alex21century/reel/DFN3GVvIel5/

 

 

라이브 방송중 스캐머에게 사기당한후 좌절한 스트리머.

 

 

 

"Carve out" 표현이 비지니스 영어에서 사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 시간, 공간 등의 자원을 우선순위가 높은 일을 위해 할당해 두는 것을 의미한다.

 

Carve out이라는 표현은 직역하면 나무나 대리석 같은 큰 덩어리를 잘라내 새로운 조각품을 만드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회사에서 쓰이는 비지니스 영어에서는 이런 문자 그대로의 의미 말고 "시간,예산 등의 자원을 할당하다"라는 표현으로 종종 쓰입니다. 아래에 몇가지 예문을 통해 배워보겠습니다.

 

  1. We need to carve out some time each week for team meetings and project updates.
    :우리는 매주 팀 회의와 프로젝트 업데이트를 위해 시간을 할애해야 합니다
  2.  Despite the tight deadlines, we need to carve out time for quality assurance testing.
    :마감 시간이 빠듯하긴 하지만, 우리는 품질 보증 테스트를 위해 시간을 할애해야 합니다
  3. The manager carved out an hour each day to mentor junior employees.
    : 매니저는 신입 직원 멘토링을 위해 매일 한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4. "We've carved out a dedicated workspace for the new marketing team."
    우리는 새로운 마케팅 팀을 위해 전용 작업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이처럼 carve out 뒤에는 시간이나 공간 같은 자원이 뒤따르며, 팀 미팅에서 프로젝트 우선순위 정할때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그 외에도 "틈새 시장을 개척하다, 입지를 확보하다"라는 표현으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1. By focusing on sustainable practices, they've carved out a strong position in the eco-friendly consumer market.
    : 지속 가능한 관행에 집중함으로써 그들은 친환경 소비자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했습니다
  2. The company successfully carved out a niche for itself by offering personalized financial advice to small businesses.
    : 그 회사는 중소기업에 맞춤형 재무 자문을 제공함으로써 성공적으로 틈새 시장을 개척했습니다
  3. Despite the fierce competition, the startup managed to carve out a significant market share within its first year.
    :치열한 경쟁에도 불구하고 그 스타트업은 첫해에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했습니다
  4. Our strategy is to carve out a dominant presence in the emerging markets of Southeast Asia.
    : 우리의 전략은 동남아시아 신흥 시장에서 지배적인 입지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첫번째 표현과는 다르게 carve out 뒤에 "시장부문(market segment)"과 관련된 단어가 뒤따릅니다.

 


 

"carve out"은 비지니스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고 어려운 단어가 아니지만 한국사람에겐 생소한 만큼 막상 사용하기가 쉽지 않은 표현입니다. 잘 익혀 놓으면 유용하게 쓸 일이 많은 표현입니다.

 

 

 

 

미국 생활 10년차가 넘어가면서 이제는 미국 세법에 훨씬 적응되어간다.

 

J비자에서 H1비자로 넘어가면서 내기 시작한 미국 연방세는 정말 후덜덜 하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최근에는 한국에서 세금을 더 많이 떼간다는 사실을 알고 꽤 충격을 받았다.

 

결혼해서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미국 연방 세율은 아래와 같다.

 

Tax Rate On taxable incom from... Up to...
10% $0 $22,000
12% $22,001 $89,450
22% $89,451 $190,750
24% $190,751 $364,200
32% $364,201 $462,500
35% $462,501 $693,750
37% $693,751 And up

출처: https://www.irs.gov/filing/federal-income-tax-rates-and-brackets

 

Federal income tax rates and brackets | Internal Revenue Service

 

www.irs.gov

 

미국에선 약 $150,000 (대략 2억원) 수입 기준이면 대략 22% 세율 구간에 속한다.
(참고로 내가 사는 동네 가구 평균 수입이 대략 $150,000가량 된다).

 

물론 여기에 추가로 주세 (state tax)를 내야하고, 내가 사는 펜실베니아 주는 3%라 총 대략 25%을 세금으로 내야한다.

 

그런데 한국 과세표준 구간에 따르면 2억원은 38% 구간에 속한다 (아래 참조).

과세표준 구간
세율
누진공제
1,400만원 이하
6%
-
1,400만원 초과 5,000만 이하
15%
126만 원
5,000만원 초과 8,800만 이하
24%
576만 원
8,800만원 초과 1억 5,000만 이하
35%
1,544만 원
1억 5,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38%
1,994만 원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40%
2,594만 원
5억원 초과 10억 원 이하
42%
3,594만 원
10억 원 초과
45%
6,594만 원

출처: https://namu.wiki/w/%EC%86%8C%EB%93%9D%EC%84%B8

 

 

미국은 주세가 더 높은 주도 있지 않냐고 반문할 수 있는데, $150,000 기준으로 세율이 높기로 악명높은 캘리포니아도 9.3%에 속해서 연방세와 주세를 합쳐도 한국 세율보다 낮다. 그리고 반대로 미국은 주세가 없는 주도 있다.

 

한마디로 같은 수입 기준이면 보통은 미국보다 한국 세율이 더 높다.

 


 

한가지 더 주목할 점은 "미국에서는 세금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한국에 비해 훨씬 더 많다"는 점이다.

 

401k plan(직장인 연금계좌), IRA (Indivisual Retirement Account; 개인 연금 계좌), HSA (Health Savings Account; 건강 보험 계좌) 등등 한국에 비해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다.

 

2024년 기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아래와 같다.

Plan
Contribution limit
401k $23,000
IRA $7,000
HSA $8,300

 

위 계좌에 넣은 돈은 인덱스 펀드에 투자해 연평균 7% 이상의 수익으로 계속 불릴 수 있다. 미국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이런 방법을 통해 사회 초년생부터 은퇴를 준비하고 있고, 은퇴할 나이인 65세 가량이면 어렵지 않게 $ 1 million 이상의 자금이 은퇴계좌에 모일 수 있다. 물론 이 금액은 은퇴즈음이면 자가가 되었을 주택은 포함하지 않은 금액이다.

 

최근에 한국 대기업에서 소위 억대 연봉의 오퍼를 받고 심각하게 귀국을 고민했었다. 한국에서는 대략 13-14억원 ($ 1 million)의 은퇴 자금 모으는게 현실적으로는 거의 힘들다는걸 알게 되자, 미국에서 받는 금액보다 더 많은 고액의 한국 연봉이 실제로는 그렇게 매력적이지 않게 느껴졌다. 

 


미국, 한국 세금을 비교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은 한국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외국인은 19% 단일 세율 적용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었다 (아래 표 참조).

 

https://m.joseilbo.com/news/view.htm?newsid=507621

 

⑬외국인 근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과세특례'

■ 외국인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과세특례'...20년으로 확대 연말정산이 어렵게 느껴질 수 밖에 없는 외국인에게 적용되는 '과세특례'가 있다. 이 과세특례는 외국인 근로자가 비과세 소득을 포

m.joseilbo.com

 


이 세법은 좀 문제가 있어 보인다.만약에 내가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미국 국적을 취득했다면, 위의 억대 연봉 오퍼를 받고 한국에서 근무하게 되면, 19%에 해당하는 엄청난 세금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우수 해외 인력을 유입하겠다는 취지인지는 모르겠다. 그런데 연봉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외국인 개인 입장에서는 엄청난 세금 감면 혜택이 주어지고, 국가 입장에서는 세금 수입 창출 기회를 잃게 된다. 뭐가 더 중요한지는 함께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미국 이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미국을 선택한 이유 (#1)  (4) 2024.08.06

 

~와 연락하다는 의미의 touch base를 나타내는 이미지. 야구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비지니스 영어에서 정말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미국에서 회사생활 하다보면 정말 많이 쓰이는 표현이 "touch base" 혹은 "touch base with someone"입니다.

 

"~와 연락하다" 혹은 "~에 대해 이야기하다" 정도로 번역됩니다.

 

Merriam Webster 사전에 따르면(출처: https://www.merriam-webster.com/wordplay/touch-base-idiom-meaning-usage), 이 표현은 야구 경기에서 주자가 모든 베이스(base)를 touch 해야 무사히 살아남고 득점할수 있다는 데서 시작된 비지니스 영어 표현으로, 요즘 회사에서 정말 많이 쓰입니다.

 

 

몇 가지 예문을 통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 "Let's touch base next Monday to discuss the progress on the marketing campaign."
    • "다음 주 월요일에 마케팅 캠페인 진행 상황에 대해 간단히 논의하도록 합시다."
  • "I'll touch base with the client later today to confirm the meeting time."
    • "오늘 늦게 회의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고객에게 간단히 연락드리겠습니다."
  • "We need to touch base with the development team to ensure the project stays on schedule."
    • "프로젝트가 일정대로 진행되도록 개발팀과 간단히 연락해야 합니다."
  • "Could you please touch base with HR regarding the new employee onboarding process?"
    • "신입 사원 온보딩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인사팀에 간단히 연락해 주시겠습니까?"
  • "I'll touch base with you after the conference to share my key takeaways."
    • "회의 후 주요 내용을 공유하기 위해 간단히 연락드리겠습니다."

 


위에 나온 예문처럼 미팅 중에 의사소통할 때 써도 좋은 표현이고, 이메일 시작 할 때 사용하기에도 좋은 표현입니다. 

 

예를들면 ,

 

"Hi Jacob, 

I wanted to touch base regarding the discussion we had last week."

 

 

이런 식으로 "~에 관해 연락하고자 한다" 고 이메일 시작하실 때 쓰면 부드럽게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와 연락하다라고 하실 때는 "touch base with ~" 이렇게 "with ~"를 추가해서 쓰시면 되고,

 

어떤 주제에 대해 연락하다라고 할 때는 "touch base on~" 이렇게 "on ~" 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물론 둘 다 넣어서 "touch based with somebody on something" 이렇게 쓰셔도 됩니다. 아래 몇가지 예문을 통해 배워보겠습니다.

 

 

  • Let's touch base with the client on their feedback regarding the product demo."
    • "제품 데모에 대한 고객의 피드백에 대해 고객과 간단히 연락해 봅시다."
  • "We should touch base with the IT department on the server maintenance schedule."
    • "서버 유지 관리 일정에 대해 IT 부서와 간단히 연락해야 합니다."
  • "Please touch base with the project manager on the upcoming deadline for the report."
    • "보고서의 다가오는 마감일에 대해 프로젝트 관리자와 간단히 연락해 주십시오."

 

 


그리고 과거형으로 쓰실 때는 touch base 대신에 touched base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I've touched base with Nashville law enforcement, my family, and the good people at Chief'," he wrote on social media.

저는 내슈빌 경찰, 가족, 그리고 Chief'의 좋은 분들과 간단히 연락을 주고받았습니다." 라고 그는 소셜 미디어에 썼습니다.

출처: https://www.bbc.com/news/articles/cj90e41e7wlo

 

Morgan Wallen sentenced after throwing chair off Nashville roof

The singer was arrested after the chair landed close to police officers on a crowded Tennessee street.

www.bbc.com

 

 


 

비슷한 표현으로는 connect, check in, follow up, reach out, drop a line, ping 등이 있고 그 뉘앙스가 조금씩 다르니 상황에 맞는 표현을 골라 쓰시면 단조롭지 않은 비지니스 영어를 구사하실 수 있습니다.

 

좀 더 심도 있게 토의할 경우에는 "hash out"(2025.02.17 - [비지니스 영어] - 비지니스 영어 표현: hash out), "delve into" (

2025.03.05 - [비지니스 영어] - 비지니스 영어 표현: delve into) 같은 표현이 있으니 함께 기억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미국으로 이민자 숫자를 출신 국가별로 나열했을 때 한국이 10위에 위치해 있다 (아래 기사 참조).

 

https://www.voronoiapp.com/demographics/Mexico-India--China-Are-the-Top-Sources-of-US-Immigrants--1218

10위면 그다지 높지 않은 순위라 생각할 수 있지만, 상위권에 위치한 국가들은 거의 다 한국보다 소득 수준이 낮은 국가이며, 인구수 대비로 따졌을 때 한국이 10위에 위치한 것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한국을 떠나고 있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한국을 떠나는 사람들마다 다른 이유가 있었겠지만, 내가 미국에 남기로 결정한 이유와 그 분들의 이유는 비슷했을 거라 생각한다. 다음 세대를 생각했을 때 한국보다 미국에서의 미래가 훨씬 밝다는 것이다. 

 

곧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내 자녀는 무한 경쟁의 한국 사회 보다는 미국에서 성장하길 희망했다. 당장 초등학교부터 명문대 진학을 위해 선행학습을 시작해야하는 한국 교육 환경을 보면, 미국에서 학교 다니며 자랄 수 있는 길을 열어 주는 것만으로도 부모로서 줄 수 있는 큰 선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외에도 워라벨, 주거 환경, 은퇴후 삶, 등등 여러가지 면을 고려했을 때도 미국이라는 국가가 제공하는 삶, 제도, 복지가 한국보다 월등히 나았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항목별로 자세히 비교해 보고자 한다. 

 

 

 

'미국 이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미국을 선택한 이유: 세금  (0) 2024.08.21

초보자도 할 수 있는 제일 쉬운 투자 방법은 미국 S&P500 인덱스 펀드 (index fund)에 꾸준히 투자하는 것이다.

 

S&P500 는 역사적으로 약 10%의 수익을 자랑한다.

 

별도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 없이 이만큼의 수익률을 자랑하는 투자처는 흔치 않다.

 

최근 10년간의 S&P500 차트. 2024년 현재 기준으로 2014년 대비 거의 2700%가량 상승했다. 2014년에 1000만원을 투자했으면 2024년에는 2700만원 가까이 늘어나 있을 것이다.

 

S&P500 은 쉽게 말해 미국에서 제일 잘나가는 500개의 회사 주가를 추종하는 지수이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아마존 등등 500위 안에 들어가는 회사를 몽땅 산다고 생각하면 된다.

 

특정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500개의 기업에 동시에 투자하는 것이라 개별 주식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동성도 적지만, 잘나가는 미국 회사에 투자하는 만큼 매년 높은 성장율을 자랑한다.

 

물론 위의 차트에서 볼 수 있듯 2020년 코비드 판데믹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급락하는 경우도 있지만, 등락에 상관없이 장기적으로 꾸준히 사모은다면 결국에는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핵심은 수년동안 긴 시간에 걸쳐 정기적으로 꾸준히 사 모으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제일 좋은 투자법은 정기적(매주 혹은 매 2주)으로 일정한 금액을 계속 사는 것이다. 현재 본인이 하고 있는 S&P500 투자법이며, 거의 별도의 시간투자를 하지 않았음에도 상당한 수익률을 가져다 줬다. 이 부분에 관해서는 본인의 실제 계좌 투자 내역을 통해 그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 Recent posts